불법주차 신고
생활불편신고앱
불법주차 때문에 짜증나지만 귀찮아서 신고를 하긴 어려운것 같아요. 하지만 자꾸 신고를 해야 불법주차가 줄어들겠죠? 오늘은 간편하게 불법조차 신고앱을 통해 불법주차 신고하는 방법을 아래에서 알아보겠습니다.
골목이 많은 곳이라면 불법주차 문제는 더욱 심각하죠. 게다가 요즘 민식이법 때문에 스쿨존에서 조심해야 하는데 불법주차까지 되어 있다면 짜증이 치밀어오릅니다.
하지만 차주에게 직접 연락하기는 꺼려지고 신고과정이 귀찮을것 같아 건너뛰는 분들도 많을텐데 그런분들을 위해 간단한 신고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신고방법에는 몇가지가 있지만 오늘은 생활불편신고앱을 통한 신고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어플 다운로드도 간단하고 사진 찍고 올리기만 하면 돼서 아주 편합니다.
불법주차 신고하기
먼저 안드로이드 플레이스토어나 원스토어, iOS 앱스토어에서 생활불편신고앱을 검색합니다. 그리고 아래 어플을 다운로드 받아줍니다.
오른쪽에 있는 설치 버튼을 눌러주면 애플리케이션이 설치가 됩니다.
설치가 다 되어 생활불편신고앱을 실행시키면 아래와 같은 메인 화면이 뜹니다.
어플에 처음 접속하는 저같은 분들은 위 화면과 같이 민원인 정보를 기입해야 합니다. 성명과 연락처를 입력한 후 개인정보 사용 동의에 체크를 하고 인증요청을 합니다.
인증번호가 오면 번호를 입력하고 민원인 정보를 등록합니다. 한번 해두면 다음에는 확인 절차 없이 바로 민원을 넣을수 있어 편리합니다.
생활불편신고앱은 신고와 촬영, 갤러리 등의 메뉴로 이루어져있어요. 신고버튼을 누르면 불법주차, 불법정차, 장애인 전용구역 불법주차, 불법광고물, 불법쓰레기 등 각종 불법사항들을 간단하게 신고할수있습니다.
단, 동영상만 첨부해 접수하면 증빙자료로 채택이 어려울수있다고 합니다. 그러니까 꼭 사진도 함께 첨부해서 신고해야하시기 바랍니다.
불법주차를 신고하려면 위에서 불법주차 신고 메뉴를 누르고 필수로 사진을 첨부하셔서 신고를 누르시면 됩니다. 위치는 GPS를 통해 자동으로 등록된다고 하니 신고내용만 간단히 기입하시면 됩니다.
정말 간단하죠? 저희 동네에도 골목길이 많아 불법주,정차가 많은데 이 앱으로 간단하게 신고해야겠네요.
하지만 신고하기 전에 불법주차, 불법정차 기준을 알아두는것이 중요하겠죠? 아래에서 간단하게 정리해봤습니다.
불법주차 기준, 불법주정차 기준
불법주차를 하게될 시 과태료를 받게 됩니다. 이는 도로교통법 제32조에 따른 것입니다. 과태료 비용도 비싼데 잠깐 세워둬서 과태료를 물어야한다면 억울하겠죠?
1. 교차로, 횡단보도, 건널목/보도/차도가 구분된 도로
교차로의 경우 가장자리와 도로의 모퉁이로부터 5미터 이내가 주정차 금지구역입니다. 만약 안전지대가 설치되어 있다면 안전지대로부터 각 10미터 이내가 주정차 불가지역입니다.
또 버스정류장 기둥과 표지판, 선이 설치되어있는 곳의 10미터 이내, 건널목 가장자리와 횡단보도 10미터 이내, 지방경찰청장이 주정차 금지 장소로 지정한 곳도 이에 해당됩니다.
2. 그 외
터러 안쪽이나 다리 위, 화재경보기가 있는 곳 3미터 이내, 소방용 기계, 기구, 방화물통 소화전이 설치되어 있는 장소와 반경 5미터 이내에는 불법주정차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간단히 정리하면 소화전 5m이내, 교차로 모퉁이 5m이내, 버스정류장 10m이내, 횡단보도 위(정지선 침범)의 경우 1분 간격을 두고 차번호가 보이게 두장의 사진을 찍어 바로 신고하시면 됩니다.
불법주차 과태료, 불법주정차 과태료
그렇다면 이런 곳에 주정차를 했을때 받게 되는 과태료는 얼마일까요? 아래에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1. 기본 과태료
승용차와 4톤 이하 화물차에는 4만원, 11인승~15인승 승합차나 4톤을 초과하는 화물차에는 5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하게 됩니다.
2. 특수지역
어린이 보호구역, 노인 보호구역, 장애인 보호구역과 같은 특수지역에서 불법주정차를 했다면 기본 과태료의 약 2배 가량의 과태료를 받게될수있습니다.
3. 시간
2시간을 초과했음에도 불법주정차 장소에 계속 머물렀다면 1만원이 추가되며 필요시 견인 조치도 가능합니다. 견인 시 견인료와 보관료, 별도의 범칙금과 과태료까지 부과될수있으니 주의하세요.
4. 가산금
과태료를 부과받고 60일 이내로 납부하지 않는다면 다음날부터 5%의 가산금이 추가됩니다. 그리고 5년 동안 1.2%씩 가산금이 붙는다니 가산금을 내지 않도록 빨리 과태료를 납부해야겠네요.
댓글